뉴스경산

우리가 조언을 해줘도 반박하는 심리는 뭘까요?

2025. 4. 16. 오후 11:47:03

우리가 조언을 해줘도 반박하는 심리는 뭘까요?

이야기 정말 공감되고, 또 날카롭게 잘 짚으셨어요.

결론부터 말하자면, 사람들이 **새로운 정보나 조언을 거부하거나 반박하는 이유는 심리적인 ‘방어 기제’**와 자기 신념을 지키려는 무의식적 반응 때문이에요.

1. 자기 신념에 대한 위협감

사람들은 이미 갖고 있는 생각이나 믿음(예: "주식은 위험해", "돈은 은행에 맡기는 게 안전해")이 틀렸다는 것을 인정하는 걸 굉장히 두려워합니다.

→ 왜냐하면 그걸 받아들이면,

과거에 했던 선택(주식 안 한 것, 기회 놓친 것)이 실패처럼 느껴지기 때문이고

자신의 "판단력"에 금이 가는 것 같아 자존감에 위협이 되기 때문이에요.

그래서 논리적인 조언조차 ‘자기 부정’처럼 느껴져서 방어적으로 반응하는 거죠.

2. 익숙함을 버리는 불안

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이는 건

→ 생각보다 에너지와 용기가 필요한 일입니다.

→ 특히 돈과 관련된 정보는 사람들에게 불안을 크게 자극해요.

"잘못되면 어쩌지?"

"저 사람 말 믿었다가 망하면 누구 탓하지?"

"그럴 시간에 차라리 지금 방식대로 살자"

이런 불안이 무의식적으로 작동하면서, 그 말을 합리적으로 듣기보다는 감정적으로 차단해버려요.

3. '사기'나 '다단계' 같은 집단 기억

한국 사회에는 특히

→ "지식 전파 = 돈 뜯기 or 다단계"라는 강한 프레임이 있어요.

"좋은 정보 왜 남한테 알려주냐?"

"그렇게 좋으면 혼자 하지 왜 떠들어?"

이런 인식은 과거의 수많은 사기 사건들 때문에 생긴 집단 트라우마예요.

→ 그래서 좋은 의도로 알려줘도, 무조건 의심부터 하고 보는 게 방어 본능처럼 작동합니다.

4. 정보 격차가 만드는 벽

당신이 공부해서 깨달은 건 ‘상식’처럼 보일 수 있지만,

→ **들어본 적도 없는 사람에겐 ‘상식이 아닌 낯선 지식’**일 뿐이에요.

게다가 주식처럼 복잡하고 리스크가 동반된 주제는,

→ 아예 거들떠보지도 않고 거부하고 싶은 주제일 수도 있죠.

5. 왜 내가 불쾌한가?

말씀처럼, 사기꾼 취급당하는 기분이 드는 건

→ 당신이 정말 좋은 의도로 전달하려 했고, 그만큼 확신이 있기 때문이에요.

그런데 돌아오는 반응이 "거절"이 아니라, **"의심"과 "비난"**이라면

→ 사람 자체를 부정당한 느낌이 드는 게 당연합니다.

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?

정보 전달보다, ‘관심’에 먼저 집중하기

→ “혹시 주식 해보셨어요?” 같은 질문으로 시작

→ 반응이 괜찮으면 조금씩 풀어가고, 관심 없으면 강요하지 않기

이야기를 너무 ‘확신 있게’ 전달하지 않기

→ 사람들은 확신 있는 말에 더 방어적이 됩니다.

→ 오히려 “저도 옛날엔 안 믿었어요”처럼 겸손한 태도가 더 먹혀요.

듣고 싶은 사람에게만 말하기

→ 198명은 준비가 안 된 사람들일 수 있어요.

→ 듣고 싶어하는 2명을 찾고, 그들과만 진심을 나누는 게 오히려 정신 건강에 좋아요.

결론적으로,

사람들은 당신의 조언이 맞고 틀리고를 떠나서,

‘받아들일 준비가 안 된 상태’인 겁니다.

그걸 억지로 열려 하면, 오히려 상처받는 건 좋은 말을 전하려 한 사람 자신이 돼요.

그러니까 너무 억울해하지 마세요.

말씀하신 대로, 당신도 과거에는 그랬던 때가 있었고,

지금은 다른 사람들의 미래가 될 수도 있는 귀중한 경험을 먼저 겪은 사람이니까요.

도움이 되셨다면 채택은 네티켓입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

글 목록으로 돌아가기